?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 국민이 과학분야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는 분야는 생명과학과 보건·의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한선화)은 4일 과학기술 대중화 서비스 ‘과학향기’(http://scent.ndsl.kr/index.do) 콘텐츠의 2012∼2014년 이용성향(조회 수와 댓글 수)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과학향기’는 KISTI가 2003년부터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일반인과 초·중·고교생도 이해할 수 있는 칼럼으로 가공해 제공하는 과학기술 대중화 서비스로 현재 회원이 14만여명이며 매주 2회 회원에게 이메일로 콘텐츠를 제공한다.

조회 수와 댓글 수 분석 결과 생명과학이 전체 조회 수의 37%, 댓글 수의 45%를 차지해 최고 관심분야로 나타났고 다음은 보건·의료 분야로 전체 조회 수의 25%, 댓글 수의 22%를 차지했다.

조회 수가 많은 분야는 생명과학, 보건·의료, 화학, 전기·전자, 우주·항공·천문·해양 순이었으며, 댓글 수는 생명과학, 보건·의료, 화학, 우주·항공·천문·해양, 물리 순으로 많았다.

이 기간 조회 수가 가장 많은 콘텐츠는 ‘다크서클 생기는 이유, 피로 때문 아니다?’로 12만2천663회를 기록했고 다음은 ‘특별한 자폐증, 서번트 증후군’이 8만2천407회였다. 댓글이 많은 콘텐츠는 ‘사카린, 정말 인체에 유해할까?’, ‘녹조 현상, 없앨 수 있는 방법은?’, ‘에어컨 없이도 시원한 건축물의 비밀!’ 등이었다.

KISTI는 “과학향기 이용성향 조사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라며 “관심도가 높은 분야의 콘텐츠를 확대하고 관심도가 낮은 분야는 보다 흥미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를 추가하는 형태로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혜선 KISTI 정보서비스실장은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을 통해 앞으로도 과학향기가 과학문화 대중화를 상징하는 대표 브랜드로 더욱 탄탄하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생명과학에 대한 관심이 올라가는 것은 분명 좋은 일이다.

이러한 관심이 제대로된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는 원인인 '지원(혹은 분배)'의 문제와 '연구실적'의 문제에 대해서는

과학행정을 담당하고 있는 분들과 일선 연구자들의 깊은 성찰과 반성이 필요한 부분이다.

 

  • ?
    손범석 2015.08.07 15:47
    대중에게도 생명과학은 과학 분야 중에서 hot topic인 것 같습니다.
    좋은 연구를 할 수 있게끔 행정적으로도 많이 지원해 주셨으면 좋겠네요!!
  • ?
    권태우 2015.08.09 22:27
    생활에 그만큼 밀접하게 관계되지만...
    성과라는 면에서는 참 고민해야할 부분이네요... 그 기준이나 방향이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161 [2016.01.09] p21을 통한 LC의 방사선저항성 기전 1 file 윤부현 2016.01.09 1323
160 [2015.12.18] metabolism_tumor progress 1 file 윤부현 2015.12.18 1065
159 [2015.12.01] 제자여, 그대는 하산할 준비가 되었는가? -퍼온글- 윤부현 2015.12.01 1364
158 [2015.10.23] 생의학분야의 우수 연구자들이 'Google'로 모여드는 이유 2 file 윤부현 2015.10.23 1169
» [2015.08.05] [퍼온글] 국민 최고 관심 과학분야는 ‘생명과학-보건의료’ 2 윤부현 2015.08.05 1311
156 [2014.07.07] Feature: How what we eat is destroying our livers 1 윤부현 2015.07.07 2105
155 [2015.05.07] Secretome vs chemoresistance/tumor progression 2 file 윤부현 2015.05.07 1079
154 [2015.02.03] 어떻게 논문을 읽을 것인가? [퍼온글] 4 윤부현 2015.02.03 2017
153 [2014.12.01.] Normal cell 과 Cancer cell 이 자라는걸 동영상으로 찍은 것. 4 권태우 2014.12.01 1431
152 [2014.11.21] Metabolic Reprogramming을 이용한 p53 target-Cancer Treatment 6 file 윤부현 2014.11.22 1399
151 [2014. 11.12] [퍼온글] 100년전의 연구가 어떻게 HIV치료에 보탬을 주는가? 5 윤부현 2014.11.13 1478
150 [2014.10.10] 가을에 읽으면 좋을 감성적인 글들! 7 file 윤부현 2014.10.10 1447
149 [2014.09.30] AKAP12 4 file 윤부현 2014.10.01 1414
148 [2014.09.24] Wonderful Review Paper! admin 2014.09.25 27458
147 [2017.09.10] Modulators of site-specific metastasis file admin 2014.09.25 1177
146 [2014.08.29] 'Potential predatory' Journal admin 2014.09.25 1476
145 [2014.08.15] 내일 랩미팅에 나올 Proximity ligation assay 입니다. admin 2014.09.25 1460
144 [2014.08.11] 쥐를 투명하게 만드는 논문이 나왔네요... admin 2014.09.25 1778
143 [2014.08.05] Top5 Journal file admin 2014.09.25 1331
142 [2014.08.01] Mouse tumorigenesis에 관여하는 새로운 마커 발굴에 관한 논문 file admin 2014.09.25 162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XE Login